본문 바로가기

페미니즘

우리에게 필요한 '메타 페미니즘' 우리에게 필요한 ‘메타-페미니즘’– 현대 한국의 넷-페미니즘 담론 비평인멸전 ‘페미니스트가 아니면 여성 혐오주의자이다.’ 우리는 모두 한 번쯤은 이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페미니즘 운동 진영에서든, 대학 캠퍼스에서든 간에 말이다. 어쩌면 이를 페미니즘 운동의 성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페미니즘에 대한 옹호는 인간이 갖추어야만 하는 최소한의 덕목이라는 인식이 확산하였기 때문이다. 페미니스트들은 대개 여성 억압이 가장 유서 깊고 가장 만연한 억압임을 전제하며, 심지어 그렇기에 여성 억압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대 한국의 페미니즘 담론은 크게 두 가지 흐름을 이루고 있는데, 한쪽은 ‘워마드’로 대표되고, 다른 한쪽은 교차적 페미니스트와 맥을 같이 한다. 한때나마 페미니스트임을 자.. 더보기
오직 ‘여성 인권’ 만을 위한 커뮤니티, 워마드 오직 ‘여성 인권’ 만을 위한 커뮤니티, 워마드 엘펜 최근 워마드(WOMAD)에 대하여 말이 많다. 워마드는 여성 인권만을 위한다며 여타 소수자, 특히 성 소수자를 배척하는 등, 전형적인 TERF(트랜스-배타적 급진주의 페미니즘), 혹은 분리주의 페미니즘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들의 양상은 외국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이들은 어떻게 서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을까. 그러한 원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그 원인이야 많고 많을 것이나, 그 중 하나는 워마드의 기원에서 찾을 수 있겠다. 워마드의 탄생은 2015년 말의 메갈리아 분열 사태이다. 이 사태는 어떠한 메갈리아 유저의 글로부터 시작되었다. 해당 글에서는, 성 소수자 운동에서 게이들은 게이가 아닌 나머지 성 소수자를 배척하며, 레즈비언과는 .. 더보기
한국형 TERF인 ‘워마디즘’ 비평 - 윤리성과 전략성이라는 측면에서 한국형 TERF인 ‘워마디즘’ 비평 - 윤리성과 전략성이라는 측면에서 멸치 워마드는 낡은 주제다. 워마드의 탄생은 예고된 것이며, 워마드가 창출해내는 담론은 이미 출처가 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지금 이 시점에 워마드에 주목하고, 새삼스럽게 그들의 담론을 파헤쳐야 하는가. 워마드를 비판하려는 의도는 무엇이며, 질이 좋은 워마드 비판은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이는 이 글을 쓰기 전에 오랫동안 고민했던 바이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몇 가지 사실을 밝혀두려 한다. 필자는 여성으로 지정받은 트랜스 당사자이며, 여성도 남성도 아니지만 여성으로 패싱(passing)한다. 이러한 특성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불리하게 작동하지만, 여성으로 패싱 가능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특권이기도 하다. 수많은 여성전용 공간에서 여.. 더보기